it/httpCommunication14 HTTP(캐시무효화) HTTP통신시 캐시를 넣지 않아도 GET요청을 받으면 웹브라우저는 자동으로 캐시를 저장하게 된다 그럴 때 임의로 캐시를 저장하지 않도록 응답에서 설정값으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예) 이용자의 통장잔고 등 Cache-Control : no-cache 데이터는 캐시해도 되지만, 항상 원 서버에 검증하고 사용 Cache-Control : no-store 데이터에 민감한 정보가 있으므로 저장하면 안됨 (메모리에서 사용하고 최대한 빨리 삭제) Cache-Control : must-revalidate - 캐시 만료후 최초 조회시 원 서버에 검증해야 함 - 원 서버 접근 실패시 반드시 오류가 발생해야 함 - 504(Gateway Timeout) - must-revalidate는 캐시 유효 시간이라면 캐시를 사용함 ※.. 2022. 7. 6. HTTP(해더2) 캐시 : 한번 전송받은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받아놓고 똑같은 요청이 있을 시 받아놓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 캐시사용의 장점 캐시가 남아있다면 서버에 취득하러 가지 않아도 됨으로 메모리낭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네트워크통신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 로딩속도가 빠르다 캐시시간초과 서버에서 기존 데이터변경 o 서버에서 데이터를 다시 받아오며 캐시유효시간도 다시 갱신한다 서버에서 기존 데이터 변경 x - 데이터가 변하지 않았으면 궂이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브라우저캐시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면 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데이터가 변하지 않았다는것을 검증하기위해 검증헤더 라는 것을 사용한다 서버에서 응답시 Last-Modified최종 수정일을 같이 넣어서 응답해준다 응답받은 데이터를 브라우저는 브라우저캐시에 L.. 2022. 7. 6. HTTP(상태코드) 상태코드의 종류 2022. 7. 5. HTTP(데이터전송) 정적 데이터 전송 - 이미지, 정적 텍스트 문서 이미지같은 정적인 데이터는 쿼리파라미터가 필요없다 동적 데이터 전송 - 주로 검색, 게시판 목록에서 정렬 필터(검색어) 쿼리파라미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HTML FORM을 통한 데이터 전송 - 회원가입, 상푼주문, 데이터 변경 ・ 폼데이터로 전송할 때는 action에 지정된 것이 서버의 URL이된다 ・ 폼데이터로 전송할 때는 method에 post로 쿼리파라미터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・ http가 서버로 전송될 때 폼안에 데이터들을 알아서 바디안에 쿼리파라미터로 만들어 준다 GET은 바디에 데이터를 넣는것을 권장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으로 http가 쿼리파라미터로 해더에 데이터를 만들어 준다 파일같은 것을 form데이터를 통해서 전송할 때 enct.. 2022. 7. 5. 이전 1 2 3 4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