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/httpCommunication

HTTP(데이터전송)

by hanjae 2022. 7. 5.

정적 데이터 전송

 - 이미지, 정적 텍스트 문서

이미지같은 정적인 데이터는 쿼리파라미터가 필요없다

 

동적 데이터 전송

 - 주로 검색, 게시판 목록에서 정렬 필터(검색어)

쿼리파라미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

 

 

HTML FORM을 통한 데이터 전송

 - 회원가입, 상푼주문, 데이터 변경

・ 폼데이터로 전송할 때는 action에 지정된 것이 서버의 URL이된다

・ 폼데이터로 전송할 때는 method에 post로 쿼리파라미터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 

・ http가 서버로 전송될 때 폼안에 데이터들을 알아서 바디안에 쿼리파라미터로 만들어 준다

 

form의 method를 get으로 바꿨을 때

GET은 바디에 데이터를 넣는것을 권장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으로 http가 쿼리파라미터로 해더에 데이터를 만들어 준다

 

파일전송을 할 때

파일같은 것을 form데이터를 통해서 전송할 때 enctype을 multipart/form-data로 정의하고

전송시 http가 Content-Type은 mulipart/form-data 로 만들어주고

바디의 데이터는 각 인풋별로 만들어서 전송해준다

 

API전송

 - 서버 to 서버

    : 백엔드 시스템 통신

 - 앱 클라이언트

    : 아이폰, 안드로이드

 - 웹 클라이언트

    : html에서 form전송 대신 자바 스크립트를 통한 통신에서 사용(Ajax)

 - POST , PUT, PATCH : 메시지 바디를 통해서 데이터 전송

 - GET : 조회, 쿼리 파라미터로 데이터 전달

 - Content-Type : application/json을 주로 사용( http해더에 있음) text, xml, json 등등

'it > httpCommunic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TP(해더2)  (0) 2022.07.06
HTTP(상태코드)  (0) 2022.07.05
HTTP(메서드)  (0) 2022.07.05
HTTP(Stateful, Stateless)  (0) 2022.06.30
HTTP  (0) 2022.06.30